본문 바로가기

동물행동학15

동물의 문제행동 *문제행동이란? 문제행동이란 어떻게 정의되는 것일까? 안타깝게도 현시점에서는 동물행동학 전문가들 사이에서조차 통일된 정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동물의 행동이 나타내는 동기에 대해서 아직 충분히 이해되어 있지 않다는 것, 개체에 따라 행동이 나타내는 동기부여의 정도가 다르다는 것에 기인하는 지도 모른다. 미국의 동물행동학 전문의들은 문제행동을 '이상행동과 사회나 주인에게 불편을 주는 행동 또는 주인의 자산이나 동물자신을 손상시키는 행동'이나 '주인의 생활에 지장을 미치는 행동'등으로 정의하고 있다. 어떻든 간에 치료될 수 있는 문제행동이란 주인에 의해 문제라고 인식되었을 때 비로소 '문제행동'이 되는 것임은 틀림이 없다.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문제행동은 이하의 3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첫째,.. 2023. 2. 27.
동물의 학습원리2 *조작적 조건화 동물은 특정한 자극상황에서 일어나는 반응,행동에 이어서 보수가 주어지면 다시 같은 상황이 되었을 때 똑같은 행동을 취할 확률이 증가한다. 이것을 조작적 조건화라고 부른다. 이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자극-반응-강화(보수)가 이어서 일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1)강화 동물의 반응을 강화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을 이하에 나타낸다. (1)강화인자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보상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반려동물에게 조건화를 하는 경우는 강화인자로서 먹이, 칭찬, 쓰다듬기 등이 이용된다. (2)강화의 타이밍 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조건화를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반응과 동시에 또는 직후에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3)강화의 정도 보통은 먹이와 같은 매력적인 보상이 유용하게 사용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여주는데 조건화.. 2023. 2. 26.
동물의 학습원리1 *서론 우리들 인간을 포함하여 동물은 다종다양한 행동을 발현한다. 이러한 행동은 섭식행동이나 배설행동과 같이 태어나면서부터 유전적으로 프로그램 되어 있는 생득적 행동(본능행동)과 생후 학습에 의해 획득하는 습득적 행동(학습행동/획득행동)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실제로 발현하는 행동에는 양자의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보통이다. 예를 들어, 막 태어난 아기가 어미의 젖을 빠는 행동은 순수한 생득적 행동이지만 5살 정도의 유아가 젓가락이나 스푼을 사용하여 밥을 먹는 경우 섭식행동자체는 생득적 행동이지만 젓가락을 사용하는 행동은 부모로부터 배운 습득적 행동이다. 즉, 개체가 성장함에 따라 생득적인 행동양식이라는 것은 획득적 반응에 따라 수식되거나 변화해가는 것이다. 또한 인간뿐 아니라 모든 동물들은 성.. 2023. 2. 25.
개의 커뮤니케이션행동1 *시각을 통한 커뮤니케이션행동 근거리 또는 중거리 커뮤니케이션에서 시각신호는 효과적이며 상대의 대응을 보면서 즉시 신호를 바꿀 수 있다는 점도 유리하다. 늑대 무리에서는 동료 간의 커뮤니케이션의 대부분이 자세나 표정의 변화로 된 시각표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시각계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개와 개 또는 개와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중요한 전달양식이다. 공격성과 공포의 정도가 다양한 비율로 섞이면서 그때의 기분을 나타내듯이 귀나 꼬리의 위치, 신체 전체의 자세, 얼굴표정 등으로 이루어진 커뮤니케이션 신호가 연속적으로 형태를 만들어간다. 머리의 위치는 공격시에는 높고 복종시에는 낮고 목이 늘어난다. 귀의 위치는 공격 시에는 경계태세와 동일해지고 복종시에는 뒤로 쏠려 내려간다. 또한 눈은 위협시에는 .. 2023.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