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역성 공격행동
마당, 집안, 차 등 개가 자신의 세력권으로 인식하고 있는 장소나 자신이 보호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대상에 접근하는 '위협이나 위해를 주는 의지가 없는' 개체에 대해 보이는 공격행동이다. 본능적으로 자신의 세력권이나 동료를 지키려고 하는 행동으로 집에 들어오는 사람이나 산책 중에 주인에게 말을 거는 사람, 집 앞을 지나는 다른 개 등을 공격하게 된다. 개가 집을 지키는 용도로 키워지고 있다 하더라도 매일 방문하는 우편배달부나 신문배달부, 때때로 방문하는 내방자에게도 짖는다면 주인이 아니라, 방문자도 불쾌감을 느끼거나 위험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공격성향을 보이는 개는 짖거나 으르렁거림으로써 침입자(방문자)가 사라진다는 것을 학습하고 있다. 우편배달부나 신문배달부가 할 일을 마치고 그곳을 떠나는 것인데도 개는 자신의 공격에 의해 상대를 물리쳤다고 이해하고 알게 모르게 매일매일 개의 학습이 강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만일 내방자가 개의 공격에 물러나지 않으면 개는 더 공격의 강도를 높여 최종적으로는 내방자에게 달려들게까지 된다. 짖거나 으르렁거리는 개에 비해서 달려드는 개를 치료하는 것이 훨씬 힘든 일임을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이 같은 개의 본래의 습성을 고쳐버리면 더 이상 집을 지키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주인도 있을지 모르지만 실제로 주인이 습격당하거나 도둑이 침입하는 상황은 일반인이 방문하는 장면과 크게 다르기 때문에 개가 그것마저 인식하지 못하게 되지는 않는다.
<원인>
① 견종에 따른 유전적 경향
도베르만, 아키타견, 미니추어슈나우저, 로트와일러, 져먼셰퍼드, 차우차우 등의 견종은 유전적으로 영역성 공격행동을 발현하기 쉽다.
② 과도한 영역방위본능
개가 자신의 세력권을 방위하는 것은 본능적인 행동이지만 개체에 따라서는 이것이 과도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③ 강화학습(마이너스강화)
공격행동에 의해 위협을 느낀 대상이 사라진다는 것을 학습함에 따라 영역성 공격행동이 악화된다.
<진단>
① 공격의 대상(주인이나 가족에게 접근하는 사람이나 동물)이나 상황(개의 세력권을 침범하고 있는 사실)을 상세히 검토하여 진단한다.
② 치료에는 공격을 일으키는 계기(자극)의 동정이 필요하다.
③ 우위성 공격, 공포성 공격, 포식성 공격, 놀이공격, 아픔에 의한 공격, 특발성 공격 등 다른 공격행동과의 구별이 필요하다.
*공포성 공격행동
공포나 불안의 행동학적, 생리학적 징후가 동반되어 일어나는 공격행동이다. 천성적으로 겁이 많아 공포성 공격행동을 보이는 개도 있지만 어렸을 때 무서운 경험을 하거나 사회화 기회가 충분히 주어지지 못한 개는 겁이 많다. 이러한 개는 무섭다고 느끼는 상황에서 항상 긴장하므로 원인이 되는 공포심을 없애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겁이 많은 개는 으르렁거리거나 짖거나 하지만 무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자신이 공포적인 상황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으면 공격적으로 행동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어른이라면 개가 보이는 불안의 징후(몸을 낮추어 으르렁거리거나 떨거나 하는 것)를 알아차리고 더 이상 개를 건들지 않겠지만 아이들은 갑자기 큰 소리를 내거나 다가가거나 개의 귀나 꼬리를 물거나 잡아당기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겁먹은 개에게 있어 위협이 된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원인>
① 과도한 공포나 불안 : 개가 공포나 불안을 강하게 느끼면 본능적으로 공격행동을 보인다.
② 선천적 기질 : 천성적으로 공포나 불안을 느끼기 쉬운 개체가 존재한다.
③ 사회화 부족 : 생후 3~12주의 사회화기에 충분한 경험을 하지 않은 경우는 성장 후 신기한 환경이나 대상물에 대해 과도한 공포나 불안을 느끼게 된다.
④ 과거의 혐오경험 : 과거(특히 어렸을 때)에 공포경험이나 불안경험이 있으면 신기한 환경이나 대상물에 과도한 반응을 보이기 쉽다.
<진단>
① 공격대상이나 상황(공포나 불안의 행동학적, 생리학적 징후를 동반한다)을 상세히 검토하여 진단한다.
② 치료에는 공격을 일으키는 원인의 동정이 필요하다.
③ 우위성 공격, 공포성 공격, 포식성 공격, 놀이공격, 아픔에 의한 공격, 특발성 공격 등 다른 공격행동과의 유증감별이 필요하다.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포 불안에 관련된 개의 문제행동 (0) | 2023.03.12 |
---|---|
개의 문제행동-포식성,동종간 공격행동 (0) | 2023.03.11 |
개의 문제행동-우위성 공격행동 (0) | 2023.03.08 |
행동치료의 요법 (0) | 2023.03.07 |
행동수정법-도구 (0) | 2023.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