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동물 행동이 일어나는 구조 1

by wellof 2023. 1. 28.

*생득적 해발기구

생득적 행동(innate behavior)이란 학습이나 훈련 없이, 다른 개체에서 모방하지 않고, 그리고 환경의 영향도 받지 않고 발달하는 행동을 말한다. 

즉, 각각의 동물 종에 태어나면서부터 갖추어져 있는 특이적인 행동 레퍼토리(repertoire)이다. 이러한 생득적 행동을 일으키는 자극을 열쇠자극이라 하며, 열쇠자극을 포함한 해발인자에 의해 행동이 일어나는 구조를 생득적 해발기구(innate releasing mechanism)라 한다. 단, 대부분의 경우 특히 포유류 등에서는 엄밀한 의미의 생득적 행동은 거의 없고 대부분의 행동은 실제로는 학습의 요소와 생득적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서 성립되어 있다.

 

*행동의 동기부여

열쇠자극이 있어도 동기부여가 없으면 행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동물이 시기의 차이에 따라 먹이나 다른 개체에 대해 다른 행동을 하는 것은 내적 상태가 다르기 때문이며 동기부여(motivation)는 어떤 목적을 위해 동물이 특정행동을 하는데 필요한 메커니즘이다. 예를 들어, 아무리 맛있는 먹이를 보여줘도 이제 막 식사를 마친 만복일 때는 먹고 싶어 하지는 않을 것이다. 즉, 이 경우 먹이라는 열쇠자극에 의해 나타나야 할 섭식행동이 식욕이라는 동기부여레벨이 낮기 때문에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동기부여는 첫째, 개체의 생존을 위한 식욕, 수면욕, 배설욕, 체온과 호흡의 유지욕과 같은 호메오스타시스(homeostasis) 성 동기부여. 둘째, 종의 존속을 위한 성욕과 육아욕과 같은 번식성의 동기부여. 셋째, 호기심이나 조작욕, 접촉욕과 같은 내발적 동기부여. 넷째, 정동적 동기부여. 다섯째, 사회적 동기부여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이 제창되었다. 어느 행동에 동기부여 되어 있는 동물이 보이는 탐색적 행동을 욕구행동(appetitive behavior)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공복의 개체가 적극적으로 먹이를 찾는 행동은 욕구행동이며, 이 행동의 경우의 최종목표인 채식행동은 완료행동(consummatory behavior)이라 하여 구별된다.

 

*동물의 감각세계

우리들 인간이 생활하는 감각세계는 동물들의 감각세계와 같은 것만은 아니다. 예를 열거하자면 끝이 없지만 예를 들어, 어느 종의 뱀은 공기관(pit organ)이라는 적외선탐지장치를 머리에 가지고 있어 어둠 속에서도 체온을 단서로 먹이인 쥐 등의 소동물의 위치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다.  마치 우리들이 적외선스코프를 사용하여 야간에 침입자의 감시를 하는 것과 같은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외양간 올빼미는 야행성 조류인데 약간 위, 아래로 어긋난 좌우의 귀에 도달하는 음의 시간차로 음파정위를 하여 먹이가 있는 곳을 정확히 알아낼 수 있다. 후각에 관해서 말하면, 일반적으로 동물은 인간에 비해 훨씬 예민하며, 예를 들어 개는 냄새에 의한 개체식별 따위도 간단히 해내고, 누에나방의 성페로몬인 본비콜은 수 Km  떨어진  곳에 있는 수컷을 부를 정도로 강력한 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시각, 청각, 후각등 어떠한 감각에 대해서도 동물과 인간은 지각할 수 있는 정보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감도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각각의 동물 종에 따라 감각세계가 다르다는 것을 이해해 두는 것은 상대방(취급하는 동물)의 입장에 서서 생각하기 위한 필수조건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인간에게는 아무것도 아닌 자극(예를 들어 가청범위 외의 초음파)이 개나 고양이에게 있어서는 견디기 힘든 고통(이 경우는 소음으로서)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커뮤니케이션과 신호

동물은 각각의 종에 특유한 울음소리와 소리(청각신호), 표정, 자세와 동작(시각신호) 또는 채취와 페로몬(후각신호)등을 사용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이러한 신호가 전달되는 내용으로는 개체의 귀속에 관한 정보(조, 성, 연령, 집단, 혈연등), 개체의 내적 상태에 관한 정보(영양, 내분비, 동기부여, 정동 등), 외계의 사상에 관한 정보( 먹이나 적의 존재등)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동료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동물행동의 진화과정에서 하나의 신호행동이 매우 정형적이면서 명료해진 것을 의식화(ritualization)된 행동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동물들이 보이는 행동의 레퍼토리를 충분히 이해함에 따라 그 개체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커뮤니케이션이나 신호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다.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와 고양이의 가축화의 역사  (0) 2023.01.31
동물행동이 일어나는 구조 2  (1) 2023.01.30
동물행동의 구조  (0) 2023.01.27
동물행동학의 기초적 개념  (0) 2023.01.26
동물행동학의 개념  (0) 2023.01.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