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수정법4 행동수정법 반려 동물의 문제 행동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행동수정법, 약물요법, 의학적 요법등이 있다. 그중 행동수정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전 시간 홍수법, 계통적 탈감작과 길항조건부여 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번에는 행동수정법 중 처벌, 트레이닝, 도구를 통한 행동수정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행동수정법 4) 처벌 특정 반응이 재발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그 반응이 가장 클 때나 직후에 혐오자극을 주거나 보수가 되는 자극(강화자극)을 배제하는 것을 말한다. 단, 처벌을 유용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타이밍, 적절한 강도 및 일관성이 필요하다. 즉 동물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도중이나 직후에 동물을 겁먹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충분히 혐오를 느낄 만큼의 자극을 그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부여해야 한다. 처벌.. 2023. 3. 23. 행동수정법-도구 반려동물의 행동을 수정하는 데 있어 사용되는 몇 가지 도구가 있는데, 다음은 그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1) 헤드홀터 특수한 목걸이로 목줄을 당기면 뒤통수와 코에 압력이 가해지는 구조이다. 문제행동의 치료에 이것을 적용하는 경우는 실제로 주인 앞에서 수의사가 문제가 되는 개에게 착용하여 보여주면서 그 방법과 사용법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헤드홀터는 목과 코 부분의 끈으로 되어 있다. 우선 목 부분의 끈부터 착용한 다음 끈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손가락 1~2개가 들어갈 정도로 끈의 길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나서 일단 목 부분의 끈을 풀고 코부분의 끈을 코에 끼우고 목 부분의 끈을 고정한 뒤, 코부분의 끈의 길이가 개가 움직일 때 빠지지 않도록 조절한다. 착용 후에는 옆에서.. 2023. 3. 6. 행동치료-처벌 특정 반응이 재발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그 반응이 가장 클 때나 직후에 혐오자극을 주거나 보상이 되는 강화자극을 배제하는 것을 말한다. 처벌은 혐오자극이 제거됨으로써 반응재발의 가능성이 증가하는 '마이너스 강화'와는 전혀 다른 것임에 주의해야 한다. 처벌을 유용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타이밍, 적절한 강도 및 일관성이 필요하다. 즉, 동물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도중이나 직후에 동물을 겁먹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충분히 혐오를 느낄 정도의 자극을 그 행동이 발현할 때마다 부여해야 한다. 이 중 하나라도 결여될 경우는 처벌의 효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훈련사 등 전문가 이외의 일반 주인에게 있어서 처벌의 적용은 의외로 어렵다. 또한 처벌을 줌으로써 동물이 공포를 느끼고 공격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2023. 3. 5. 행동수정법 부적절한 동물의 행동을 바람직한 행동으로 변화시키는 수법으로 동물의 학습 원리에 기초하여 고안되어 있으며 행동치료의 중심이 된다. 대부분의 문제행동에 대해 유용한 방법이지만 실제로는 주인이 실시하는 것이므로 그 효과는 주인의 이해력과 실천력에 달려 있다. 따라서 행동수정법을 이용하는 수의사는 주인의 응낙성을 적절히 평가하면서 지시하고, 필요에 따라 follow up 해야 한다. 이하에 행동수정법의 기초가 되는 학습 원리와 기본적인 행동수정법에 대해 설명한다. 1) 순화 일반적으로 동물은 신기한 자극을 받으면 놀라거나 불안해지는데 이 자극이 고통이나 상해를 주는 것이 아닌 경우는 반복하여 노출됨으로써 점차 익숙해진다. 이 과정을 순화라고 하며 큰 소리에의 순화, 낯선 인간에의 순화, 차에 타는 것에의 순화.. 2023. 3.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