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조작적 조건화

by wellof 2023. 3. 5.

동물은 특정한 자극상황에서 일어나는 반응에 이어서 보상이 주어지면 다시 같은 상황이 됐을 때 똑같은 행동을 취할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이것을 조작적 조건화라고 부른다. 이 조작적 조건화에는 자극, 반응, 강화가 이어서 일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1) 강화

동물의 반응을 강화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을 이하에 나타냈다.

ㄱ. 강화인자 : 조작적조건화에서는 보상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반려동물에게 조건화를 하는 경우는 강화인자로서 먹이, 칭찬, 쓰다듬기 등이 이용된다.

ㄴ. 강화의 타이밍 : 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조건화를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반응과 동기에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ㄷ. 강화의 정도 : 보통은 먹이와 같은 매력적인 보상이 유용하게 사용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여주는데 조건화를 하고자 하는 반응이 복잡하거나 가만히 기다려야 하는 경우에는 너무 매력적인 보상을 이용하면 동물이 흥분하여 역효과가 날 수 있다.

ㄹ. 강화스케줄 : 반응을  가르칠 때는 모든 반응에 대해 강화함으로써 빠르게 학습이 성립한다. 반면, 한번 조건화가 성립한 뒤는 강화의 빈도를 서서히 줄여서 부정기적인 강화로 변경해야 한다. 이 방법에 의해 강화인자의 매력이 유지된다.

ㅁ. 플러스강화와 마이너스강화 : 강화인자의 제시에 따라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증가하는 조건화를 플러스강화(양성강화)라 하는 반면, 반응 후 혐오적인 강화인자가 제거됨에 따라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을 마이너스강화(음성강화)라고 한다. 플러스강화로는 '앉아'라는 명령을 주고 개가 앉음과 동시에 간식을 주는 등의 예가 있다. 마이너스강화로는 우편배달원이 다가오는 것에 대해 짖음으로써 짖는 경향이 증가하는 등의 예가 있다.

ㅂ. 2차적 강화인자 : 본래의 보상이 아닌, 본래의 보상과 함께 주어짐으로써 강화인자로 작용하는 2차적 보상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간식을 이용하면서 개를 훈련할 때 동시에 칭찬을 해주면 곧 칭찬만으로도 보상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2) 소거

동물의 행동레퍼토리에서 조건화 된 특정 행동반응을 소멸시키는 것을 말한다. 소거는 다른 반응을 새롭게 학습하는 것이며 망각이 아니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고전적 조건화에서도 조작적 조건화에서도 이용되는 전문용어인데 임상적으로는 조작적 조건화에서 특히 중요하다. 조작적 조건화에서 학습한 반응에 대해 전혀 강화가 주어지지 않으면 그 반응은 최종적으로 소멸된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조작적 조건화에 의한 학습이 소거되는 과정에서 때로 소거버스트라는 현상이 보인다는 것이다. 소거버스트란 지금까지 강화되어 온 반응이 갑자기 강화되지 않게 되었을 때 한동안 그 반응이 더 빈번하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3) 반응형성(점근조건부여)

희망하는 반응패턴에 제대로 다가갈 수 있도록 적절한 타이밍에 강화를 주어 동물에게 본래의 행동레퍼토리에는 없는 복잡한 반응을 서서히 훈련시키는 경우에 이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훈련과정에서 개가 경험한 적 없는 시소를 통과시키는 훈련을 할 때 우선은 시소에 탄 시점에서 그 행동을 강화하고, 다음으로 그 위를 걷는 행동을 강화하고, 최종적으로 시소의 맞은편까지 걸어갈 수 있도록 단계를 밟아 훈련을 해가는 경우에 해당한다.

(4) 자극일반화

특정 자극에 대해 어떤 반응이 조건화된 뒤 유사한 자극에 대해서도 동일한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개가 문의 벨소리에 짖는 것을 학습한 경우 서서히 전화소리나 시계알람 소리에도 짖게 되는 경우가 있다. 

 

지금까지 카테고리에는 직접 포함되지는 않지만 자주 이용되는 행동수정법으로 '길항조건부여'가 있다.

길항조건부여 : 자극에 대해 일어나는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과는 양립하지 않는 반응을 하도록 조건화하는 행동수정법을 말한다. 빈 집을 지키게 하면 파괴행동을 하거나 부적절한 장소에 배설을 하는 개에 대한 치료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는 빈 집을 지키게 하면 불안해지거나 혐오적인 감정이 발생하는 것인데 서서히 집을 지키는 시간을 늘려감으로써 혐오반응을 억제함과 함께 집을 지킬 때마다 좋아하는 간식을 주는 식으로 집을 지키는 것에 대해 기쁜 감정이 생겨나도록 하는 것이다.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수정법-도구  (0) 2023.03.06
행동치료-처벌  (0) 2023.03.05
행동수정법  (0) 2023.03.04
문제행동을 치료할 때 주의점  (0) 2023.03.02
고양이의 문제행동  (0) 2023.03.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