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51

육아행동 *육아행동의 종차 모성행동은 다양한 동물행동 중에서도 가장 신비스럽고 감동적인 행동 중 하나이다. 초산의 암컷은 그때까지 새끼를 돌본 적도 없고 본 적도 없지만 아무에게도 배우지 않고 갑자기 어미의 역할을 하기 시작한다. 새끼가 혼자서 설 수 있을 때까지 계속해서 복잡하게 시간과 함께 변해가는 육아행동을 완벽한 타이밍에 완벽하게 해내는 것은 경이롭기까지 하다. 어미는 자신의 새끼에 대해 깊은 애정을 가지고 동물개체 간의 가장 끈끈한 정을 구축해간다. 모자의 정의 끈끈함은 때로 어미를 심하게 공격적으로 만들기도 한다. 어미는 자신의 새끼를 지키기 위해서라면 자신의 몸을 위험에 빠뜨리는 일도 꺼리지 않는데 이러한 것은 자연계에서 모성행동 외에는 볼 수 없는 일이다. 어미와의 접촉을 통해 새끼들은 정상적인 사.. 2023. 2. 12.
생식행동과 배우시스템 포유류의 번식에 관한 행동에는 종차가 크다고 설명했는데 그 배경에는 다양하게 분화된 포유류의 배우시스템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배우시스템은 아래와 같이 분류된다. (1)일부일처제(Monogamy) 원원류, 설치류, 육식류의 일부에서 보이나 전 포유류의 5%정도로 적다. 개과 동물도 그 중 하나이다. (2)일부다처제(Polygyny) 많은 포유류가 이 형태의 배우시스템을 갖는다. 그중에는 할렘형(사슴, 말, 마가크류의 원숭이, 비비 등에서 암컷무리에 단독 또는 소수의 수컷이 들어가 암컷과 새끼를 방위하면서 일정지역 내를 이동한다), 영역형(설치류, 영장류, 유제류에 널리 보이며 수컷이 교미나 사냥을 위한 세력권 내에 암컷을 두고 교미를 한다), 렉형(바다코끼리등의 해수류, 다마사슴 등의 우제류, 박쥐 등으.. 2023. 2. 9.
동물행동학에서 본 생식전략 *생식행동의 다양성과 진화 생식행동의 다양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개와 말처럼 우리 주변에 있는 동물을 비교해 보아도 명확하다. 개는 한 번에 여러 마리의 새끼를 낳는 다태동물이다. 새끼강아지는 태어나서 며칠간은 눈도 보이지 않고 귀도 들리지 않으며 배설조차 스스로 할 수 없는 매우 미숙한 상태이다. 어미 개는 둥지에 머물면서 열심히 새끼를 보살피는데 쉽게 새끼를 받아들여 수유하는 등 모자간의 연에 대해서는 비교적 느슨한 편이다. 반면, 말은 한 번의 출산에서 한 마리만을 낳는 단태동물이다. 새끼말은 새끼강아지에 비해 훨씬 성숙한 상태로 태어나 출산 후 1시간이 되기도 전에 자력으로 일어서서 어미의 뒤를 따라 초원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어미말은 개의 경우와 달리, 자신의 새끼에게만 강한 모정을 가지.. 2023. 2. 8.
발달행동학적으로 본 개의 문제행동 미국에서의 조사에 따르면 1살 이하의 강아지의 최대의 사인은 문제행동이 원인이 된 안락사, 즉 주인의 사육포기라는 것이 밝혀졌다. 개의 대표적인 문제 행동 중에서 발달행동학적 고찰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이하에 나타낸다. *공격행동 개의 문제행동 중 가장 일반적이고 심각한 것이 공격행동이다. 자신의 세력권이나 행동권에 들어온 침입자에 대한 공격성은 개에게 있어 정상적인 행동반응이다. 늑대에서는 침입자에 대해 명확한 적대행동이 나타나는 것은 16~20주 무렵으로 이 시기는 신기한 자극이나 공포심을 부채질하는 자극에 대해 갑자기 강한 감수성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시기와 일치한다고 한다. 개에서는 이러한 공격성이 문제행동으로 인식되는 것은 보통 1~3세다. 한편, 사회적 계급구조 내에서 자신의 지위에 도전해 오.. 2023. 2. 7.